1. 공동체 사회
개미는 벌목 곤충으로 기생생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곤충류로 약 10만 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워낙 많아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개미의 무게를 다 합치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무게보다 무겁다고 합니다. 몸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며 냄새를 맡거나 앞쪽 물체를 살피는 데 사용되는 더듬이 한 쌍과 6개의 다리, 머리에는 홑눈 3개와 겹눈 2개가 있습니다. 개미는 협동, 분업하는 사회적 곤충인데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여왕개미
태어날 때부터 날개를 가지고 태어나며 결혼비행 전까지 개미집 안에서 일개미들의 돌봄을 받으며 삽니다. 결혼비행 시기가 되면 개미집에서 나와서 수개미와 교미합니다. 교미가 끝나면 여왕개미는 땅에 내려와 날개를 떼어내고 다른 개미 집단이 점령하지 않은 공간을 찾아서 알을 낳고 애벌레를 정성껏 돌봅니다. 평생 동안 알을 수천 개에서 수십만 개를 낳는데 나중에 알을 낳지 못하게 되면 일개미들에게 쫓겨나기도 하고 죽임을 당하기도 합니다. 여왕개미의 수명은 일개미에 비해 매우 긴 편이지만, 결혼비행 후 잡아먹히거나 다른 개미에게 공격당하거나 굶어 죽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자리를 잡는 여왕개미는 500마리에서 1만 마리 중 한 마리 정도라고 합니다.
수개미
여왕개미처럼 우화 할 때부터 날개를 가지고 태어나며 크기는 일개미와 비슷합니다. 수개미도 결혼비행 시기가 다가오면 여왕개미를 찾아 날아오릅니다. 교미 후 수개미는 생식기가 끊어져 죽고 땅에 떨어집니다.
일개미
생식 기능이 없는 암컷들은 모두 일개미입니다. 여왕개미의 시중을 들고, 여왕개미가 낳은 알과 애벌레를 돌보며 먹이 채집, 먹이가 있는 위치 찾아내기 등 여러 가지 일을 도맡아 합니다.
병정개미
일개미 중 다른 일개미에 비해 덩치가 커지고 머리와 턱이 발달한 개미를 가리킵니다. 사람의 군대처럼 외부와 전투 시 개미집도 지키고 일개미들이 먹이를 옮기는 동안 그 주위를 지키기도 합니다.
2. 다방면으로 뛰어난 능력
개미는 자신의 발걸음 수를 세서 집을 찾아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동거리도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울퉁불퉁하고 불편한 지표면에서는 최소한으로 움직이고 매끄러운 지표면에서는 빠르게 많이 움직입니다. 집을 지을 때도 용도에 맞는 여러 개의 방을 만들고 각각의 방이 이동 통로로 이어지게 만듭니다. 그리고 비가 올 때를 대비해 집을 지을 때도 흡수가 잘되는 땅을 고른 뒤 집의 입구 일부를 무너지도록 설계합니다. 일부러 집 안으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말입니다. 사실 개미는 배에 있는 숨구멍으로 비가 올 것을 미리 예측해서 집 입구의 흙을 평소보다 높게 쌓을 수도 있습니다. 개미는 냄새로 다른 개미와 대화를 할 수 있는데, 화학물질인 '페로몬'을 분비하여 먹이를 발견한 곳까지 배를 땅에 끌어 길을 알려줍니다. 다른 개미들이 그 페로몬 냄새를 따라 먹이를 가지러 왔다 갔다 하다가 더 이상 먹이가 남아있지 않으면 페로몬의 분비를 멈춰서 헛걸음하는 개미가 없도록 합니다.
3. 공생관계
개미는 진딧물이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고 나서 배설한 단물을 섭취하는데, 꾸준히 받아먹기 위해 진딧물을 천적인 무당벌레로부터 보호해주기도 합니다. 정해진 구역에서 진딧물을 관리하기도 하고, 개미집 안으로 데려와서 사람이 가축을 기르는 것처럼 행동하는 개미도 있습니다. 부전나비의 애벌레도 땅으로 떨어지면 개미들이 열심히 옮겨서 개미굴 안에 넣어주고 애벌레에서 나오는 단물을 먹습니다. 하지만 성충으로 우화 하면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기에 개미굴을 탈출하지 않으면 개미들의 먹이가 되고 맙니다. 식물과 공생하는 개미도 있습니다. 아마존 정글의 아즈텍 개미는 트럼펫 나무속에 집을 짓기로 유명한데, 트럼펫나무는 개미에게 꿀을 만들어 주거나 동물성 단백질을 줄기 끝쪽에 만들어 개미들에게 제공합니다. 대신 개미는 트럼펫나무 주변의 잡초도 제거해 주고 나무를 공격하는 해충들을 잡아먹으며 나무를 보호해 줍니다. 만약 나무에 살고 있는 개미들을 다 없애버리면 나무는 잡초와 해충들에게 공격당하고 말 것입니다.
'생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슴벌레, 수사슴을 연상시키는 멋진 뿔 (0) | 2023.01.19 |
---|---|
무당벌레, 화려하고 귀여운 자연의 대식가 (0) | 2023.01.19 |
파리, 해충이라고 알고 있지만 숨겨진 장점 (0) | 2023.01.18 |
모기, 여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0) | 2023.01.18 |
벼룩, 기생하는 곤충의 대명사 (0) | 2023.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