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탁 위의 해충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볼 수 있는 파리는 집파리와 초파리가 있습니다. 파리는 날기 위해 한쌍의 날개만 사용하고 나머지 뒷날개는 고속 센서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곤충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져 0.0001초 만에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아무리 잡으려고 조심스럽게 다가가도 바로 날아가버립니다. 파리는 머리 측면에 한 쌍의 큰 겹눈이 있는데 선명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시야가 매우 넓고 빛의 편광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파리는 특히나 식품에 위험한데 식중독을 유발하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등의 미생물을 묻혀오기 때문입니다. 살모넬라균은 식중독의 원인이 되며 주로 계란, 우유, 생선회, 육류, 어패류, 채소류, 식물성 단백질, 어묵류, 마요네즈, 면류 등 음식 재료,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 등에 존재하고 음식이나 요리하는 사람 손의 묻어 있다가 식사할 때 몸속으로 들어갑니다. 복통, 설사, 오한, 고열, 메스꺼움, 구토, 권태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치사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어린아이의 경우 심한 배탈로 인해 탈수 증상으로 사망까지 이를 수 있고, 성인의 경우에도 중증으로 발전하면 감염된 균이 장에서 피를 타고 신체 다른 부분으로 퍼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음식은 맛과 냄새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손을 깨끗이 씻고 조리 도구를 세척하는 등의 위생관리와 불을 사용한 조리법으로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파리가 없는 세상
파리가 유해한 균을 옮겨 다니는 해충이라고 하지만 없으면 안 되는 이유도 있습니다. 작물의 꽃가루를 옮겨 종자를 퍼뜨리는 역할도 합니다. 보통 이런 일은 꿀벌 같은 곤충이 하는 일이지만, 꿀벌보다 파리가 번식속도가 훨씬 빠르고 벌에 쏘일 걱정 없이 일할 수 있기에 농업에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파리가 해충이기에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 제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파리를 이 세상에서 아예 사라지게 한다면 엄청난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습니다. 위생 문제가 있긴 하지만 파리가 수분(꽃의 수술에서 난자로 꽃가루를 전달하는 것)을 하는 비율이 벌의 몇 배 이상이기 때문에 파리가 사라진다면 농작물의 수확량이 너무 적어져 인간의 식생활 유지도 힘들어질 것입니다. 실험실에서는 쉽게 번식하며 키울 수 있는 초파리를 실험에 이용합니다. 몸집은 매우 작지만 고등생물과 비슷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초파리는 유전자 관련 돌연변이 연구에 엄청난 업적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파리의 유충인 구더기도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상처가 나서 썩어버린 피부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구더기는 이가 없이 화학물질로 썩은 피부를 녹인 후 그것을 먹고, 깨끗한 피부는 내버려 두기 때문에 조금 간지럽고 혐오스러울 수는 있지만 고통 없이 치료할 수 있어서 전쟁터나 초기 병원에서 이용해 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무 구더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용으로 쓰이는 구더기가 따로 있다고 합니다. 법의학에서도 구더기를 중요한 증거로 활용하는데, 시체가 부패해 버려서 사망시간을 추측하기 힘든 경우, 시체 내부의 구더기의 분포 상태와 성장 상태를 분석하여 사망시간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구더기를 이용하여 사건의 중요한 증거를 찾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시체의 부패 정도에 따라 꼬이는 구더기의 종류도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파리 분포와 비교하여 더 자세한 사망 시간을 유추 가능합니다.
3. 퇴치법의 종류
파리를 퇴치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네 가지 방법을 제안해드립니다.
1) 방충망
최대한 창문 크기에 맞춰 꼼꼼하게 씌워야 합니다. 특히 창틀 아래쪽 빗물이 빠지는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도 작은 방충망 스티커를 구매해 막아주면 좋습니다.
2) 배수구 관리
배수구에 물기가 많이 고여서 축축하면 파리들이 번식하기 좋습니다. 음식물이 남아있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고 가끔 뜨거운 물을 부어줍니다.
3) 전기 파리채
배드민턴 채 모양의 전기가 통하는 파리채로 파리를 감전시켜 태워버립니다. 음식 근처에서는 파리의 잔해들이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여 사용합니다.
4) 물
물에 빠지면 생각보다 쉽게 죽어버립니다. 물고기들이 잘 먹는다고 합니다.
'생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슴벌레, 수사슴을 연상시키는 멋진 뿔 (0) | 2023.01.19 |
---|---|
무당벌레, 화려하고 귀여운 자연의 대식가 (0) | 2023.01.19 |
개미, 사회생활을 하는 똑똑한 곤충 (0) | 2023.01.19 |
모기, 여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0) | 2023.01.18 |
벼룩, 기생하는 곤충의 대명사 (0) | 2023.01.18 |
댓글